"5차례 개선된 제안으로 美에 환상적 합의 체결한 인니가 좋은 예""中의 러·이란 석유수입 문제 삼을 것…AI혁명에 생산성 향상, 금리 내려야"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2025.06.11 ⓒ AFP=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워싱턴·서울=뉴스1) 강민경 이창규 기자 류정민 특파원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오는 8월 1일까지 재유예한 상호관세와 관련한 무역 협상에 있어 '합의의 질'을 강조하며 서두르지 않겠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또 중국과의 다음 무역협상에서 중국의 러시아산·이란산 원유 구입을 문제 삼겠다고 했다.베선트 장관은 이날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주요 무역 파트너들과의 협상 진전 상황을 묻는 말에 "중요한 것은 합의의 질이지, 합의의 시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베선트는 이어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것은 20년, 30년, 40년에 걸쳐 쌓인 (무역) 불균형"이라면서 "8월 1일까지 합의를 마무리하는 것보다 고품질의 합의를 달성하는 데 더 집중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협상은 현재 속도로 진행될 것이며, 협상을 성사시키기 위해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8월 1일 한국(25%)을 비롯해 무역 상대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보낸 상태다.베선트 장관은 무역 협상이 생산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 시한이 연장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대통령이 무엇을 원하는지 지켜볼 것"이라며 답을 유보했다.이어 베선트는 "그러나 (협상이 결렬되어) 우리가 8월 1일 관세로 되돌아간다면 나는 더 나은 무역 합의를 위해 더 높은 관세를 통해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베선트 장관은 최근 타결된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합의를 성공 사례로 제시했다. 그는 인도네시아가 수개월간 다섯 차례에 걸쳐 개선된 제안을 내놨고, 그 결과 미국에 매우 유리한 "환상적인 합의"가 체결됐다고 주장했다.그는 "이 합의로 (인도네시아의 미국에 대한) 1만 1000개의 관세 항목이 철폐됐고, 비관세 장벽도 포함돼 있다"면서 "미국은 인도네시아에 19% 관세를 부과하는 반면, 인도네시아는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미국산 농산물과 보잉 항공기를 대규모로 구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중국과의 협상과 관련해서는 "매우 좋은 상황에 있다"며 "이제는 다른 것들"5차례 개선된 제안으로 美에 환상적 합의 체결한 인니가 좋은 예""中의 러·이란 석유수입 문제 삼을 것…AI혁명에 생산성 향상, 금리 내려야"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2025.06.11 ⓒ AFP=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워싱턴·서울=뉴스1) 강민경 이창규 기자 류정민 특파원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오는 8월 1일까지 재유예한 상호관세와 관련한 무역 협상에 있어 '합의의 질'을 강조하며 서두르지 않겠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또 중국과의 다음 무역협상에서 중국의 러시아산·이란산 원유 구입을 문제 삼겠다고 했다.베선트 장관은 이날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주요 무역 파트너들과의 협상 진전 상황을 묻는 말에 "중요한 것은 합의의 질이지, 합의의 시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베선트는 이어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것은 20년, 30년, 40년에 걸쳐 쌓인 (무역) 불균형"이라면서 "8월 1일까지 합의를 마무리하는 것보다 고품질의 합의를 달성하는 데 더 집중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협상은 현재 속도로 진행될 것이며, 협상을 성사시키기 위해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8월 1일 한국(25%)을 비롯해 무역 상대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보낸 상태다.베선트 장관은 무역 협상이 생산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 시한이 연장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대통령이 무엇을 원하는지 지켜볼 것"이라며 답을 유보했다.이어 베선트는 "그러나 (협상이 결렬되어) 우리가 8월 1일 관세로 되돌아간다면 나는 더 나은 무역 합의를 위해 더 높은 관세를 통해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베선트 장관은 최근 타결된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합의를 성공 사례로 제시했다. 그는 인도네시아가 수개월간 다섯 차례에 걸쳐 개선된 제안을 내놨고, 그 결과 미국에 매우 유리한 "환상적인 합의"가 체결됐다고 주장했다.그는 "이 합의로 (인도네시아의 미국에 대한) 1만 1000개의 관세 항목이 철폐됐고, 비관세 장벽도 포함돼 있다"면서 "미국은 인도네시아에 19% 관세를 부과하는 반면, 인도네시아는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미국산 농산물과 보잉 항공기를 대규모로 구매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