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은 이재명…"여론조사 가장 앞서"여권, 한동훈·오세훈·김문수·홍준표 등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하면서 조기 대선이 현실화했다. 외신들은 저마다 유력 후보자들을 지목, 한국의 차기 대선에 대해 전망했다. 사진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 및 성남 FC 뇌물 혐의' 공판에 출석하고 있는 모습. /서예원 기자 [더팩트ㅣ이동현 기자]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하면서 조기 대통령 선거가 현실화했다. 외신들도 한국의 차기 대선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유력 후보자들을 지목했다. 이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유력한 대선 주자로 꼽았다. FT는 "투쟁적인 공장 노동자 출신 변호사인 이 대표가 여론 조사에서 앞서고 있다"며 "그는 지난 2022년 대선에서 윤 전 대통령에게 1%포인트(p)도 채 되지 않는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고 보도했다.그러면서 "이 대표는 민주당의 대선 주자로 널리 알려졌지만 현재 법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그가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으면 대선에 출마할 수 없지만, 재판이 끝나기 전에 대통령으로 선출된다면 이후는 어떻게 될지 불분명하다"고 분석했다.미국 로이터통신은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 대표가 다른 대선 주자보다 상당히 앞서고 있다"며 "야권 최고의 대선 후보로 여겨지지만, 그 역시 법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전했다.미국 외교전문지 더디플로맷은 "이 대표가 여론조사에서 모든 유력한 경쟁자를 상대로 상당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며 "대선에서 가장 유력한 승리 후보일 가능성이 높지만 중도 유권자들의 이탈과 끊임없는 이슈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이 대표가 대통령이 될 경우 한국의 외교 방식이 바뀔 가능성도 제기됐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이 대표가 진보 성향의 정부를 구성하게 되면 기존 중국에 강경했던 접근 방식을 완화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 관세에 관한 연설을 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트럼프의 관세 정책 공식은 흡사 챗GPT 같은 인공지능(AI) 모델에 ‘관세 정책을 만들어 보라’고 시킨 결과처럼 보인다.” 3일(현지시간) 폴 크루그먼 미국 뉴욕시립대 석좌교수의 뉴스레터 플랫폼 ‘서브스택’에 실린 칼럼 중 일부분이다. 2008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크루그먼 교수가 전날 발표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에 대해 내린 촌평이었다. 칼럼 제목 또한 ‘트럼프는 무역에 있어 미쳐 가고 있다’였다."EU의 대미 관세율 39%... 근거 전혀 없어"크루그먼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 문제점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우선 “트럼프는 무역 상대방에 대해 거짓 주장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거짓 주장들은 상대국을 분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물러서기도 어렵게 만들 것”이라는 게 그의 진단이다. 그러면서 “거짓말인지 아닌지조차 확신할 수는 없는데, 트럼프가 정말로 무지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비꼬았다.‘유럽연합(EU)이 미국에 39%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는 트럼프 행정부 주장이 대표적이다. 크루그먼 교수는 “미국에 대한 EU의 (실제) 관세율은 3% 미만일 것”이라며 “어디에서 39%라는 숫자가 나오는지 전혀 알 수 없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문제 삼고 있는 EU의 부가가치세(VAT)에 대해서도 그는 “20% 전후”라며 “어떻게 해 봐도 39%에는 가까워지지 않는다”고 했다. 폴 크루그먼 미국 뉴욕시립대 석좌교수가 3일 자신의 뉴스레터 '서브스택'에 올린 “트럼프가 무역에 있어 미쳐 가고 있다”는 제목의 글. 서브스택 캡처 "트럼프 주변에 지식·독립성 가진 사람 없다"특히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공개한 상호 관세율 산정법에 바짝 날을 세웠다. 크루그먼 교수는 “USTR 메모는 마치 책을 읽지 않은 학생이 시험에서 허세로 작성한 답안지 같다”고 꼬집었다. “챗GPT가 생성한 결과물 같다”고까지 비아냥댄 이유다.실제로 크루그먼 교수의 맹비난은 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