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신안산선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조회9회 작성일 25-04-13 23:48본문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로 실종된 근로자 1명에 대한 수색작업이 13일 오후 2시10분께 재개됐다. 김도균기자 13일 오전 11시30분께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5-2공구 일대. 추가 붕괴 위험으로 전날 오후 8시께 구조 작업이 중단된 이후 반나절이 지났지만 구조대원들은 구조 재개에 나서지 못한 채 심각한 표정으로 회의를 이어가고 있었다. 아직 붕괴 현장에는 50대 시공사 직원 A씨가 고립돼 있지만 공사 현장 붕괴 여파가 더 심해지는 데 더해, 전날 밤부터 야속하게 몰아치는 강풍과 비가 구조대원의 2차 사고 우려를 키우고 있었기 때문이다. 현장에서 만난 구조대원 B씨는 “어제보다 상황이 더 안좋다”며 “붕괴 현장 내 크랙(건축물 내 균열)이 심해져 추가 붕괴 가능성이 커진 마당에 강풍까지 몰아치면서 구조대 투입을 위한 크레인 가동도 위험해졌다”고 상황을 전했다. B씨의 말을 대변하듯, 이날 오전 9시부터 소방당국과 광명시의 상황 판단 회의가 열린 천막은 5시간이 넘어가도록 결론을 내지 못해 어떤 움직임도 보이지 않았다. 오후 2시10분께, 붕괴 구조물을 건져내기 위한 350t, 500t 규모 크레인 두 대가 ‘지이잉’하는 소리와 함께 다시 가동됐고, 구조대원들은 안전 펜스를 치우고 현장 주변 잔해를 정리하는 데 매달렸다. 하지만 실종자 한 명을 찾기 위한 대원 투입은 재개되지 않았다. 현장 추가 붕괴에 따른 크레인 전도, 그에 따른 투입 대원 사고 우려를 끝내 떨쳐내지 못한 탓이다. 이에 따라 사고 13시간 만에 구조된 20대 근로자 C씨와 달리 A씨에 대한 구조는 사고 발생 삼일째까지 이뤄지지 않게 됐다. 임광식 광명소방서 소방행정과장은 작업 재개 직후 브리핑을 열어 “현재 수색 재개에 앞서 사고 현장 인근 위험물 제거에 나섰지만 아직 (대원이)내려가 구조 작업은 할 수 없다”며 “기상 상황과 전문가 의견을 종합해 최대한 빠르게 인명 구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경기도교육청과 광명시교육지원청 등은 안전을 위해 14~15일 이틀간 사고 현장 인근 한 초등학교 휴업을 결정했다. 김도균 기자 dok5@kyeonggi.com 4월 11일은 ‘세계 파킨슨병의 날’이다. 파킨슨병이란 명칭은 1817년 해당 질환을 학계에 최초 보고한 영국 의사 제임스 파킨슨의 이름에서 따왔고, 4월 11일은 그의 생일을 기리는 차원에서 지정됐다. 매년 이맘 때쯤이면 파킨슨병에 대해 한번씩 돌아보고 경각심을 갖자는 목소리가 나온다.우리나라도 지난해 말 65세이상 인구가 전체 20%를 넘어선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파킨슨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파킨슨병이 무엇인지,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챗GPT 파킨슨병은 치매 다음으로 흔히 발병하는 퇴행성 뇌 질환이다.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파킨슨병 환자는 2019년 12만5607명에서 2023년 14만2013명으로 5년새 약 13% 늘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50%가량 증가했다. 파킨슨병은 신체 운동에 꼭 필요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서서히 소실되는 질환을 말한다. 아직까지 파킨슨병이 왜 발병하는지에 대해선 밝혀지지 않았다. 유달라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파킨슨병은 도파민 신경세포의 감소로 운동장애가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이라며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으나 유전·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이어 “증상이 처음 나타나는 연령대는 평균 50대 중반이고,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발병률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인다”고 덧붙였다.파킨슨병의 대표적인 증상은 행동 느려짐(서동증), 떨림, 뻣뻣함(경직), 중심잡기 어려움, 보행장애 등이다. 이같은 운동 증상에 앞서 심한 잠꼬대나 변비, 우울증 등 비운동 증상이 선행될 수도 있다. 이는 파킨슨병의 조기 진단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이지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파킨슨병의 대표적인 전조증상으로는 렘수면 행동장애(잠자는 도중 근육 긴장도가 높아지고 과도한 움직임을 보이는 질환), 후각 소실, 변비, 소변 장애, 기립성 저혈압, 우울